반응형

잠재력 2

인본주의 심리학: 인간 중심의 심리학적 접근

1. 인본주의 심리학의 등장 배경인본주의 심리학은 1950년대 미국에서 본격적으로 등장한 제3세력 심리학(third force psychology)으로, 당시의 지배적인 두 심리학 흐름인 행동주의와 정신분석학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했다. 행동주의는 인간 행동을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만 보았으며, 관찰 가능한 현상만을 과학적으로 다루려는 경향이 강했다. 반면, 정신분석은 인간의 무의식과 본능적 충동에 초점을 맞추어 인간을 갈등과 억압의 산물로 이해했다. 이 두 이론은 공통적으로 인간을 수동적 존재로 간주했으며, 개인의 자유의지나 자기 결정성을 간과했다. 이에 반해 인본주의 심리학은 인간을 자기실현의 가능성을 가진 존재로 보며, 각 개인이 독특한 내면의 세계를 가지고 자율적으로 성장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인간 중심적 상담 이론 이해

1. 인간 중심적 상담이론의 기본 가정 인간 중심적 상담이론에 의하면 인간은 신뢰할 만하고 스스로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자기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고자 하고, 주변의 조건이 허용하면 자신이 스스로 방향을 설정하여 발달하고자 하는 자기실현의 동기를 가지고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따라서 내담자는 무기력하고 병리적인 사람이 아니라, 그를 무조건 존중하고 신뢰하는 환경조건이 주어진다면 스스로 성장하고 자기를 실현하는 건설적인 방향으로 발달한다고 전제한다. 인간 중심적 상담이론이 위와 같은 전제 위에 있기 때문에 상담자는 다음과 같은 태도와 관점을 가지고 내담자를 대한다. 첫째, 내담자는 스스로 성장하고 발달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에 상담자는 권위를 가지거나 지시적이기보다는 내담자가 스스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