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7 2

문화 및 사회문제 심리학: 사회 속 인간을 이해하는 심층적 통찰

1. 문화심리학의 본질과 학문적 의의문화심리학(cultural psychology)은 인간의 심리적 과정이 단지 개인 내부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문화적 맥락 안에서 형성되고 조절된다는 점에 주목하는 심리학의 하위 분야다. 이는 ‘보편적인 인간의 심리’라는 개념을 재검토하게 하며, 문화적 다양성에 기반한 인간 이해를 강조한다. 예컨대, 한 사회에서 감정의 표현은 성숙함의 징표로 여겨질 수 있지만, 다른 사회에서는 감정 절제가 미덕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차이는 감정 조절, 자아 인식, 동기 구조에 있어 문화가 심리 과정에 미치는 영향이 얼마나 깊은지를 보여준다. 문화심리학은 또한 비교문화연구(cross-cultural research)를 통해 특정 문화에 특수한 심리 메커니즘과 문화 간에 공통된 ..

인본주의 심리학: 인간 중심의 심리학적 접근

1. 인본주의 심리학의 등장 배경인본주의 심리학은 1950년대 미국에서 본격적으로 등장한 제3세력 심리학(third force psychology)으로, 당시의 지배적인 두 심리학 흐름인 행동주의와 정신분석학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했다. 행동주의는 인간 행동을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만 보았으며, 관찰 가능한 현상만을 과학적으로 다루려는 경향이 강했다. 반면, 정신분석은 인간의 무의식과 본능적 충동에 초점을 맞추어 인간을 갈등과 억압의 산물로 이해했다. 이 두 이론은 공통적으로 인간을 수동적 존재로 간주했으며, 개인의 자유의지나 자기 결정성을 간과했다. 이에 반해 인본주의 심리학은 인간을 자기실현의 가능성을 가진 존재로 보며, 각 개인이 독특한 내면의 세계를 가지고 자율적으로 성장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